촉촉한초코칩
** [백준] 1431(시리얼 번) python 본문
문제
다솜이는 기타를 많이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기타는 모두 다른 시리얼 번호를 가지고 있다. 다솜이는 기타를 빨리 찾아서 빨리 사람들에게 연주해주기 위해서 기타를 시리얼 번호 순서대로 정렬하고자 한다.
모든 시리얼 번호는 알파벳 대문자 (A-Z)와 숫자 (0-9)로 이루어져 있다.
시리얼번호 A가 시리얼번호 B의 앞에 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A와 B의 길이가 다르면, 짧은 것이 먼저 온다.
- 만약 서로 길이가 같다면, A의 모든 자리수의 합과 B의 모든 자리수의 합을 비교해서 작은 합을 가지는 것이 먼저온다. (숫자인 것만 더한다)
- 만약 1,2번 둘 조건으로도 비교할 수 없으면, 사전순으로 비교한다. 숫자가 알파벳보다 사전순으로 작다.
시리얼이 주어졌을 때, 정렬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기타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시리얼 번호가 하나씩 주어진다. 시리얼 번호의 길이는 최대 50이고, 알파벳 대문자 또는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시리얼 번호는 중복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부터 차례대로 N개의 줄에 한줄에 하나씩 시리얼 번호를 정렬한 결과를 출력한다.
import re
n = int(input())
tmp = 0
def sort_two_str(str1, str2):
strings = [str1, str2]
strings.sort()
return strings[0], strings[1]
def int_sum(a):
tmp = a
b = c = 0
while a > 9:
a = tmp // 10
b = tmp % 10
c = b + c
tmp = a
c = c + tmp
return(c)
str = []
re_str = []
tmp_int_i = 0
tmp_int_j = 0
for i in range(0,n):
tmp_str = input()
str.append(tmp_str)
re_str.append(tmp_str)
#1. A B 길이가 다르면 짧은 게 먼저
#2. 길이가 같으면 숫자 자릿수의 합이 작은 게 먼저
#3. 1, 2 둘다 안되면 사전순으로 비교
for i in range(0,n):
for j in range(i+1, n):
print(i, j)
if(len(str[i]) > len(str[j])):
tmp_str = re_str[i]
re_str[i] = re_str[j]
re_str[j] = tmp_str
print("글자 수", re_str)
elif (len(str[i]) == len(str[j])):
tmp_int_i = re.findall(r'\d+', str[i])
tmp_int_i = ''.join(tmp_int_i)
tmp_int_j = re.findall(r'\d+', str[j])
tmp_int_j = ''.join(tmp_int_j)
if (tmp_int_i):
tmp_int_i = int(tmp_int_i)
else:
# continue
tmp_int_i = int(0)
if tmp_int_j:
tmp_int_j = int(tmp_int_j)
else:
# continue
tmp_int_j = int(0)
tmp_i = int_sum(tmp_int_i)
tmp_j = int_sum(tmp_int_j)
print("숫자 더한 거 : ",tmp_i, tmp_j)
if(tmp_i > tmp_j):
tmp_str = re_str[j]
re_str[j] = re_str[i]
re_str[i] = tmp_str
print("숫자 합에 따른 정렬", re_str)
elif (tmp_i == tmp_j):
re_str[i], re_str[j] = sort_two_str(re_str[i], re_str[j])
print("숫자 합", re_str)
print(re_str)
원래 입력받았던 배열에서 순서를 계속 바꾸면 그 다음 비교할 때도 문제가 생기는 것 같아 그 값을 복사한 다른 배열을 만들어서 거기서 순서를 바뀌게 하려고 했는데
첫번째 예제에서만 먹히지 않는다..
5
ABCD
145C
A
A910
Z321
[0,1] ABCD, 145C | 문자열 길이 같음 → 숫자로 비교 145C ABCD A A910 Z321 |
[0,2] ABCD A | 뒤에 나온 문자열 길이가 더 작음 A ABCD 145C A910 Z321 |
[0,3] ABCD, A910 | 문자열 길이 같음 → 숫자로 비교 A910 ABCD 145C A Z321 |
[0,4] ABCD, Z321 | 문자열 길이 같음 → 숫자로 비교 Z321 ABCD 145C A A910 |
이렇게 되니 [0]번째부터 점점 고정이 되어 버려서.... A 가 [0]로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 발생
→ re_str을 쓰지 말고 원래 입력받은 배열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수정해봄
코드
import re
n = int(input())
#문자열 2개 사전 순으로 정렬
def sort_two_str(str1, str2):
strings = [str1, str2]
strings.sort()
return strings[0], strings[1]
#숫자만 덧셈
def int_sum(a):
tmp = a
b = c = 0
while a > 9:
a = tmp // 10
b = tmp % 10
c = b + c
tmp = a
c = c + tmp
return(c)
str = []
tmp_int_i = 0
tmp_int_j = 0
#배열 값 입력
for i in range(0,n):
tmp_str = input()
str.append(tmp_str)
#1. A B 길이가 다르면 짧은 게 먼저
#2. 길이가 같으면 숫자 자릿수의 합이 작은 게 먼저
#3. 1, 2 둘다 안되면 사전순으로 비교
for i in range(0,n):
for j in range(i+1, n):
if(len(str[i]) > len(str[j])): #앞 문자열 길이가 더 길 때 값 변경
str[i], str[j] = str[j], str[i]
elif (len(str[i]) == len(str[j])): #문자열 길이가 같을 때
#숫자만 추출
tmp_int_i = re.findall(r'\d+', str[i])
tmp_int_i = ''.join(tmp_int_i)
tmp_int_j = re.findall(r'\d+', str[j])
tmp_int_j = ''.join(tmp_int_j)
#int형으로 변환 -> 만약 숫자가 없다면 0으로 변환
if (tmp_int_i):
tmp_int_i = int(tmp_int_i)
else:
tmp_int_i = int(0)
if tmp_int_j:
tmp_int_j = int(tmp_int_j)
else:
tmp_int_j = int(0)
#숫자만 더하기
tmp_i = int_sum(tmp_int_i)
tmp_j = int_sum(tmp_int_j)
#숫자 합에 따른 위치 변경
if(tmp_i > tmp_j):
str[i], str[j] = str[j], str[i]
elif (tmp_i == tmp_j): #만약 두 숫자 합이 같다면 두 문자열의 위치만 변경
str[i], str[j] = sort_two_str(str[i], str[j])
print(*str, sep='\n')
됐다..
ㅋㅋㅋㅋㅋㅋ
사실 저 첫번째 예제만 계속 틀렸다고 나와서 막막해서 잠깐 검색했는데 이중 for문은 잘 쓴 것 같아서
한번 시도해본건데.... 그래도 내 힘으로 풀었다,,ㅎ
나중에 C언어로 풀어보기!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1005(진법 변환 2) C언어 (0) | 2024.09.07 |
---|---|
[백준] 2745(진법 변환) C언어 (0) | 2024.09.07 |
[백준] 2903(중앙 이동 알고리즘) C언어, python (0) | 2024.07.07 |
[백준] 2563(색종이) C언어, Python (0) | 2024.06.28 |
[백준] 10814(나이순 정렬) python (0) | 2024.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