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촉한초코칩
[백준] 2563(색종이) C언어, Python 본문
문제
가로,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0인 정사각형 모양의 흰색 도화지가 있다. 이 도화지 위에 가로,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인 정사각형 모양의 검은색 색종이를 색종이의 변과 도화지의 변이 평행하도록 붙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색종이를 한 장 또는 여러 장 붙인 후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https://blog.kakaocdn.net/dn/S2ckN/btsId7pX9N5/Rwbs9ZkOlBpaTtZNKLepv1/img.png)
예를 들어 흰색 도화지 위에 세 장의 검은색 색종이를 그림과 같은 모양으로 붙였다면 검은색 영역의 넓이는 260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색종이의 수가 주어진다. 이어 둘째 줄부터 한 줄에 하나씩 색종이를 붙인 위치가 주어진다. 색종이를 붙인 위치는 두 개의 자연수로 주어지는데 첫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왼쪽 변과 도화지의 왼쪽 변 사이의 거리이고, 두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아래쪽 변과 도화지의 아래쪽 변 사이의 거리이다. 색종이의 수는 100 이하이며, 색종이가 도화지 밖으로 나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첫째 줄에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출력한다.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arr[100][100] = {0,};
int n, a, b, count = 0;
scanf("%d", &n);
for(int i = 0; i < n; i++) {
scanf("%d %d", &a, &b);
for(int i=b; i<b+10; i++) {
for(int j=a; j<a+10; j++) {
arr[i][j] = 1;
}
}
}
for(int i = 0; i < 100; i++) {
for(int j=0; j<100; j++) {
if(arr[i][j] == 1)
count++;
}
}
printf("%d\n", count);
}
참고 : https://developer-dz.tistory.com/61
이해가 잘 되지 않아서 직접 그려보면서 해봤다.
우선 최대 10x10이라고 가정하고, 그 위에 얹어지는 정사각형은 3x3이다.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arr[10][10] = {0,};
int n, a, b, count = 0;
scanf("%d", &n);
for(int i = 0; i < n; i++) {
scanf("%d %d", &a, &b);
for(int i=b; i<b+3; i++) {
for(int j=a; j<a+3; j++) {
arr[i][j] = 1;
}
}
}
for(int i=0; i<10; i++) {
for(int j=0; j<10; j++) {
printf("%d ", arr[i][j]);
}
printf("\n");
}
}
그려보니 이해가 된다..
배열 만들 때 코드는 0부터 시작해놓고 그림그릴 때는 10부터 시작으로 했지만 어떻게 하든 상관없을 것 같다.
그리고 y부터 증가라고 했는데 x부터 증가해도 괜찮을 듯??
생각보다 쉬운 문제였는데 겹친 부분을 빼야 한다는 생각에 더 어렵게 접근하려고 했던 것 같다..
언제쯤 쉽게 생각할 수 있을까..ㅎㅎ
파이썬
#arr = [[0 for col in range(10)] for row in range(10)]
#arr = [[0] * 100 for _ in range(100)]
arr = [[0 for col in range(100)] for row in range (100)]
n = int(input())
count = 0
for k in range(n):
a, b = 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a, a+10):
for j in range(b, b+10):
arr[i][j] = 1
for i in range(0, 100):
for j in range(0, 100):
if arr[i][j] == 1:
count+=1
print(count)
2차원 배열 하는 방법 좀 암기해야 할....ㄹ.....ㄹ....... 다 까먹음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 1431(시리얼 번) python (0) | 2024.08.04 |
---|---|
[백준] 2903(중앙 이동 알고리즘) C언어, python (0) | 2024.07.07 |
[백준] 10814(나이순 정렬) python (0) | 2024.05.20 |
[백준] 2581(소수) c언어 (0) | 2024.05.05 |
[백준] 1978(소수 찾기) c언어 (0) | 2024.05.05 |